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출 효자 산업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하여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여 있다. 일본이 뜬금포를 쏟은 이유를 알기 위해서 우선 백색 국가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 백색국가란? 일본이 자국의 안전 보장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첨단 기술과 전자 부품을 다른 국가에 수출할 때 허가신청을 면제해주는 국가를 가리키는 것으로, 화이트리스트라고도 불린다. ▣ 가입 국가 : 미국, 영국, 한국(2004년), 아르헨티나, 호주, 뉴질랜드 등 총 27개국 |
백색 국가란 일본 정부에서 지정한 안보상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 '안보 우방 국가'로 제품을 수출할 경우 허가절차를 간소화시켜서 우대해 주는 무역 특혜 국을 말한다. 또한 일본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전략물자 수출과도 관련해서 허가신청을 면제해 주는 제도이다.
■■■ 수출규제 대상 품목
일본 정부의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한국의 반도체 시장을 교란시켜 쥐고 흔들겠다는 속 보이는 전략을 내비치고 있다. 이는 곧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물량이 제때 공급이 되지 못하면서 애플과 델등 글로벌 기업들과 IT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은 한발 더 나아가서 백색 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시켜 더 많은 수출 품목을 까다롭게 심사하여 제한하겠다는 것이다.
■■■ 일본의 백색국가 분류기준
1. 4대 국제 수출통제 체제 가입
2. 3대 조약 가입
3. 캐치올 통제 도입 국가
위의 모든 사항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로써는 일본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고, 한국의 캐치올 제도가 불충분하다는 말도 되지 않는 이유를 들면서 우방국인 백색 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키로 한 것이다.
※ 캐치올 규제(Catch-all-controls) : 대량살상 무기 등으로 쓰일 수 있는 물자를 무기 제조 가능성이 있는 국가에 수출할 수 없도록 통제하기 위하여 도입.
■■■ 한국을 백색 국가에서 제외시킨 이유
왜? 일본 정부는 물건을 한국에 팔지 않겠다는 자학적인 행동을 하는 것일까?
일본 정부가 내세우는 유력한 이유는 2018년 강제징용에 관한 대법원 판결을 들 수 있다. 일본 측은 우리나라 대법원의 판결을 한일 청구권 협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내세우고 있다.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적용 대상에 '강제징용 피해자의 일본 기업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 대법원 판례 내용의 핵심.
<한일 청구권 해석 차이> ◈ 한국 측 : 대한민국 대법원은 강제동원 피해자의 위자료 청구권 행사를 인정하여 2018년 10월 30일 강제징용 피해자인 원고에게 피고 신일철주금이 각각 1억 원씩을 배상하도록 한 서울고등법원 판결을 확정, 2019년 1월 9일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은 신일철주금의 대한민국 내 재산을 압류하였다.
◈일본 측 :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체결 당시 3억 달러의 무상 자금과 2억 달러의 차관을 지원하고 한국은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것에 합의하였다는 내용을 주장.
|
■■■ 정부의 대응책 및 대응 방안 모색
일본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은 가장 큰 고객으로 수출 절차가 장기화된다면 일본 내 기업의 매출 감소와 반도체 공급 가격 상승 등 역효과도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 제재 철회 요청 및 WTO 제소 등 강력 대응 시사
-외교부 : 이번 조치가 양국 관계와 연관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데 심각한 우려와 유감을 표하며 철회할 것을 적극 촉구해 나가면서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 등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해당분야의 우리 기업과 협력하면서 대응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발표함.
-산업통상자원부 : 일본의 수출 제한 조치에 맞서 국제무역기구(WTO) 제소 등 강경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
WTO 제소는 단기적으로 효과를 거두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부품 조달을 국산화하는 방법과 부품의 공급라인을 다변화시켜 가면서 적절한 수준에서 수습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재고 소진 및 대체재 확보 등 대응 방안 모색
핵심 소재 |
대응 방안 |
|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
· 삼성디스플레이 - 현재 상황으로 정확한 영향을 예측하기 어려움. · LG디스플레이 - 사태 추이 면밀히 살펴보겠다는 입장. |
|
리지스트 |
· 일본 기업 인천 송도에 있어 영향이 크지 않음. · 국내업체는 주로 ArF 액침, 노광장비용(D램용), KrF 노광 방비용(3D 낸드용)으로 영향은 제한적임. |
|
에칭가스 | 초고순도 일본산 대체 어려움. |
▣ 수출 규제 품목 3가지 국내 기업이 생산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 리지스트 | 에칭가스 |
· 코오롱인더스트리 · SKC · SK이노베이션('19년 하반기 생산설비 가동 예정) |
· 금호석유화학 · 동진쎄미켐 · 동우화인켐
|
· SK머티리얼즈 · 원익머티리얼즈 · 솔브레인 ※ 반도체 EUV 공정에 필요한 초고순도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일본산 대체 어려움 |
일본 정부는 정치적 갈등에 따른 보복 조치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지만 유독 한국만 지목하여 백색 국가에서 제외시켰다. 이는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소재를 겨냥했다고 볼 수 있다.
이번 기회를 통하여 수입선 다변화시키고 국내 생산설비를 확충하는 한편 기술개발을 통한 국산화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시켜 나야 된다고 생각한다.
DAY - 12 -
꿈이 없는 사람은 아무런 생명도 없는 인형과 같다.
- 그라시안 -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혁명' 핀테크 (0) | 2019.09.21 |
---|---|
차세대 바이오 마이크로바이옴 (0) | 2019.09.16 |
5G가 가져올 새로운 변화 (0) | 2019.09.08 |
'나혼자 산다' 1코노미란? (0) | 2019.09.04 |
움직이는 이동공간 무인 주행 자동차의 콘텐츠 (0) | 2019.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