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한국가스공사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요예측 실패로 비상 한국가스공사의 수요예측 실패로 인해 액화 천연가스(LNG) 비축량이 25%에 불과 이는 비축량이 올해 겨울 열흘지에도 미치지 못하는 137만 t까지 줄어든 것으로 파악하고 있어 LNG 부족사태는 겨울철 블랙아웃(대정전) 위가에 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한국가스공사의 LNG 비축량은 총 저장용량(557만 t)의 25% 떨어진 137만 t로 이는 겨울철 의무 비축량인 최대 수요 기준 7일치 사용량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올겨울 LNG 부족으로 인한 블랙아웃이 올 수 있다는 전망 □■□ LNG 수급 부족 원인 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경제를 압박 이에 반발한 러시아 유럽에 가스 공급량 줄임 유럽이 북미로 구입처 돌리면서 LGN 경쟁 치열해짐 ② 미국 텍사스 프리포트 LNG터미널 대규모 화재도 공급.. 2022. 8. 23.
Economy

한국가스공사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요예측 실패로 비상

by loadging 2022. 8. 23.
반응형

한국가스공사의 수요예측 실패로 인해 액화 천연가스(LNG) 비축량이 25%에 불과

이는 비축량이 올해 겨울 열흘지에도 미치지 못하는 137만 t까지 줄어든 것으로 파악하고 있어

LNG 부족사태는 겨울철 블랙아웃(대정전) 위가에 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한국가스공사의 LNG 비축량은 총 저장용량(557만 t)의 25% 떨어진 137만 t로 이는 겨울철 의무 비축량인 최대 수요 기준 7일치 사용량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올겨울 LNG 부족으로 인한 블랙아웃이 올 수 있다는 전망

 

□■□ LNG 수급 부족 원인

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경제를 압박 이에 반발한 러시아 유럽에 가스 공급량 줄임

     유럽이 북미로 구입처 돌리면서 LGN 경쟁 치열해짐

 

② 미국 텍사스 프리포트 LNG터미널 대규모 화재도 공급난을 부추김

 

 

□■□ LNG 수입처

① 카타르산: 1146만 t(25%)② 호주 : 946만 t(20.6%)③ 미국(셰일가스) : 847만 t(18.5%)④ 오만 : 441만 t(9.6%)⑤ 말레이시아 : 390만 t(5.8%)⑥ 러시아 연방 : 286만 t(6.2%)⑦ 인도네시아 : 238만 t(5.2%)

 

 

□■□ 2021년 월별 LNG 수입량

□■□ 한국가스공사 LNG 도입 가격 비공개

한국가스공사는 민간 발전회사에 액화 천연가스(LNG) 도입 가격의 세부 내역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통보

이는 가스공사의 수요예측 실패로 발전사들이 비싼 값에 LNG를 사들이고 있다는 강한 비판에 도입 가격을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지적

 

올해를 제외하고 가스공사는 민간 발전회사에 매월 장기와 단기를 구분해서 항목별 도입 가격을 명시한 발전 요금을 산정한 내역을 각 발전사에 알려줬다.

 

▣ 수요예측 실패 주원인

① 비싼 가격에  LNG를 사들이는 가스공사

- 소비량을 예측해 장단기 구매 비중 정함

- 시가보다 저렴하게 도입할 수 있는 장기 계약 비중 70~80%가량 확보

- 나머지 현물시장에서 LNG를 시가로 구매함으로써 수요관리

 

- 2020년 현물 도입 비중 17% / LNG 도입 비용 kg당 484원

- 2021년 현물 도입 비중 24% / LNG 도입 비용 kg당 661원

- 2022년 현물 도입 비중 62% / LNG 도입 비용 kg당 1279원 (러시아 - >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가격 상승)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