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당신의 마음을 빼앗는 광고 텍사스주립대(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교수 리처드는 광고란 자본주에서 예술이며 영혼과 같다고 말했다. 자본주의의 시장경제를 움직이며 우리 생활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게된 자본주의의 꽃인 광고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들은 흔히 선전이나 홍보를 광고와 혼동되어 사용하기 쉬운데 각각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우선 선전은 정보를 전달하기 보다는 사람들의 의견이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형태라고 설명할 수 있다. 선전이라는 용어는 카톨릭 교회에서 종교적 용어로 활용되기 시작하다가 히틀러와 소련에서 고의적으로 거짓을 유포하게 되면서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선전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기피하게 된다. 오늘날 선전은 자신의 정치적 상황에 유리하.. 2019. 10. 4.
Economy

당신의 마음을 빼앗는 광고

by loadging 2019. 10. 4.
반응형



텍사스주립대(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교수 리처드는 광고란 자본주에서 예술이며 영혼과 같다고 말했다. 자본주의의 시장경제를 움직이며 우리 생활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게된 자본주의의 꽃인 광고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들은 흔히 선전이나 홍보를 광고와 혼동되어 사용하기 쉬운데 각각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

우선 선전은 정보를 전달하기 보다는 사람들의 의견이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형태라고 설명할 수 있다.


선전이라는 용어는 카톨릭 교회에서 종교적 용어로 활용되기 시작하다가 히틀러와 소련에서 고의적으로 거짓을 유포하게 되면서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선전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기피하게 된다.


오늘날 선전은 자신의 정치적 상황에 유리하도록 정보를 유포시키는 것 때문에 마케팅 상황에는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홍보는 이해 집단에게 비용 지불 없이 정치적, 사회적, 도덕적 관심을 전달하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광고의 정의


특정한 목표시장 또는 대중에게 제품, 서비스, 조직 또는 아이디어에 관련한 정보를 알리거나 설득하기 위해 대중매체에 비용을 지불하고 정보를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까지 광고는 텔레비전, 신문, 잡지, 라디오 등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성장해 왔지만, 1990년대 말 이후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또는 네트워크 매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광고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환경에 맞게 새롭게 정의가 바뀌어 갈 수도 있다.



 광고의 기능


긍정적 측면


 ① 인류는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을 통해서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갖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광고는 대량소비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했다. 이는 새로운 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자본주의를 움직일 수 한 동력으로 기술 혁신과 제조업의 발달을 가속화시키게 되었다.


광고는 기업이나, 제품, 서비스 등을 소비자에게 알릴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대중매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 제공과 제품 및 상표 선택의 폭을 넓혀 준다.


③ 새로운 제품을 기반으로 새로운 생활유형을 제시하거나, 창조적인 즐거움을 제공함으로써 문화적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1988년 나이키에서 제작한 광고 슬로건 'just do it'은 일단 행동을 하라고 강조하여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의 청소년들에게 행동주의 문화를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부정적 측면


지나친 광고 경쟁으로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경쟁 기업을 비방함으로써 건전한 시장 질서를 파괴하는 등 폐혜를 가져오기도 한다. 또한 전통적인 윤리나 도덕적 기준과 달를 경우 무분별한 유행어와 외래어 남발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한다.



 광고의 종류


▣ 매체에 의한 분류

 · 전파광고(broadcasting advertising)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와 같이 전파를 통해 송수신되는 매체를 활용한 광고

 · 인쇄광고(print advertising)

 신문이나 잡지와 같이 지면에 인쇄를 하는 광고 
 · 옥외광고(billboard advertising)

 건물 옥상, 건물 벽면, 교량, 거리의 구조물, 간판 등과 같이 고정된 면에 

 광고물을 게시하는 것

 · 교통광고(transportation advertising)

 버스나 전철의 외부에 광고판을 부착한 광고



▣ 전달 방식에 의한 분류

 이성적 소구(rational)

감성적 소구(emotional appeal) 

 제품의 기능적 장점이나 편익을 강조

 소비자의 감성이나 정서에 호소



▣ 광고 표현 형식에 의한 분류

 설명형(story-line)

 음악사용형(musical)

 사람의 음성을 통해 광고 메세지 전달

 음악을 위주로 한 형식


 광고의 발전


독일의 구텐베르그가 인쇄시스템을 개발한 1450년 이후로 알려져 있다.

1477년 영국에서 최초의 광고가 책에 게재되었고 이 해에 인쇄업자 캑스톤의 세일즈버리 파이라는 회사의 전단광고가 처음 인쇄되었다.

1600년대 대중매체를 활용한 광고가 시작되었는데, 1622년 영국에서 신문광고 처음 등장하고 1631년 프랑스 신문에 광고가 시작되었다.


광고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1655년부터이다. 미국은 1704년에 최초의 신문광고가 등장한다. 이후 1741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잡지광고가 시작되면서 전국을 대상으로 한 대중매체로서의 기능이 본격화 되었다.


1950년대 텔레비전 광고가 시작되면서 방송을 중심으로 한 광고의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1886년 한성주보에 실린 세창양행의 신문광고를 우리나라 최초로 보고 있다.


1919년 3.1운동 이후 동아일보 및 조선일보의 창간으로 광고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1960년대는 CM송을 중심으로 한 라디오 광고로 새로운 전성기를 만들어 가게 되었다.


다음에는 시대별로 어떤 광고가 인기를 끌게 되었을까?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