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Science3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일론 머스크의 ISS 조기 궤도 이탈 제안 일론 머스크, ISS 조기 궤도 이탈 제안 IT계의 천재로 불리는 일론 머스크가 국제우주정거장(ISS)은 그 예정된 목적을 다했으므로 궤도에서 조기에 제거하고 ISS에 투자되는 예산을 화성 탐사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NASA가 예상한 2030년 보다 3년 이른 2027년으로 발표하며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ISS 조기 궤도 배경더 이상 국제우주정거장으로써 상업적 가치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그 예산을 화성 탐사에 집중하는 게 오히려 효율성을 높이며 우주 개발 산업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NASS는 ISS의 궤도 제거를 위해서 스페이스X의 궤도 제거 차량(U.S. Deorbit Vehichle)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2024년에 8억 4,300만 달러의 계약을 수주하였다. ISS .. 2025. 2. 27. 증강현실을 이용한 의학 기술 ≒ 인체의 복잡한 구조를 2D나 모형이 아닌 시각적 · 공간적 개념의 3D로 이해할 수 있는 플랫폼이 개발되었다. 3D 시각화를 통해 인체 해부와 생리학을 학습하는데 쉬울 뿐 아니라 의료전문가와 학생 그리고 환자 모두에게 앞으로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대해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 같다. ≒ 증강현실을 이용한 의학기술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알아보고 고대의 해부학은 무엇인가? ■■■ 해부학이란? 기원전 1600년대 고대 이집트의 의학서 에드윈 스미스 파피루스에는 심장으로부터 뻗어 나온 혈관들과 여러 장기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집트의 외과술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고대 로마에서 해부학의 발전과 함께 꽃을 피우게 된다. 그 당시 로마는 인체 해부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었어 원숭이를 이용해 해부를.. 2019. 8. 18. 벌레에서 아이디어를 착안한 바퀴벌레 로봇 우리 주변에 가까이 생존하고 있는 바퀴벌레. 바퀴벌레를 보고 괴성을 지르지 않는 사람은 몇 되지 않을 정도로 소름 끼치게 싫어하는 벌레죠. 하수구, 쓰레기장등 온갖 지저분한 곳을 돌아다니며 인간에게 해로운 세균을 퍼트려서 바퀴벌레 박멸을 위해 온갖 노력을 합니다. 급격한 온도변화나 방사능, 무중력이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새끼를 낳는 데 성공하면서 과학자들을 놀라게 만들었죠. 바퀴벌레의 강한 번식력과 끈질긴 생명력뿐만 아니라 몇 억년간 생김새도 변하지 않고 그 모습 그대로 현재까지 유지하며 살고 있는 곤충입니다. 이 처럼 바퀴벌레의 끈질긴 생명력과 이동성을 연구한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연구팀이 우표 크기만 한 바퀴벌레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이.. 2019. 8. 14.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